본문 바로가기

태국어76

EBS 태국어 24강 (피동 표현 : 툭,돈,다이랍) EBS 태국어 24강 (피동 표현 : 툭,돈,다이랍) ถูก (투-ㄱ) ~받다, 당하다 (부정적 상황에서 쓰임) 대화문 ต่อไป 떵 빠이 (앞으로는) ง่าย 응아이 (쉽다) ถูกล้วงข้อมูล 툭 루앙 커믄 (해킹 당하다) เกิดเรื่องใหญ่แล้ว 끄엇 르엉 야이 래우 (큰일 났어요, 큰 일이 생겼어요) - เกิด 끄엇 (태어나다) - เรื่อง 르엉 (이야기) - ให 야이 (크다) เกิดขึ้นได้อย่างไรคะ 끄엇 큰 다이 양라이 카 - 어떻게 된건가요? (어떻게 (그런일이) 일어났나요?) 대화문 โดน (도 - ㄴ): ~받다, 당하다 (부정적 상황에서 쓰임) 대화문 โดนด่าหนัก 돈 다 낙 (심하게 질책을 받다) (심하게 책망 꾸중을 받았다) เพราะทำผิดพ.. 2020. 10. 26.
EBS 태국어 23강 (부탁하기 : 까루나,쁘로-ㅅ)( 명령의어조사:씨,싸)(4방위 표현) EBS 태국어 23강 (부탁하기 : 까루나,쁘로-ㅅ)( 명령의어조사:씨,싸)(4방위 표현) กรุณา (까루나 - ): ~해주세요, ~하세요 แลก 렉 (바꾸다) เงิน 응언 (돈) 대화문 หลังใช้งาน 랑 차이 응안 (사용후에) - ใช้ 차이 (사용하다) - งาน 응안 (일,업무) โปรด (쁘로 - ㅅ): 부디 ~ 해주세요. 대화문 명령의 어조사 대화문 ทั้ง 탕 (모두,전부) (두개 이상을 이야기 할때 그 앞에 위치) ใกล้ถึงเวลาแล้ว รีบไปสิ 끌라이 틍 웰라 래우, 립 빠이 씨 (시간이 다 됐어요, 서둘러요 : 명령) - ใกล้ถึงเวลาแล้ว 끌라이 틍 웰라 레우 (도착 시간이 가까워지다, 도착 시간이 다 됐다) ไปรับกระเป๋าที่สายพานหมายเล.. 2020. 10. 26.
EBS 태국어 22강 (금지 표현하기 : 야, 함) (강조의 어조사) EBS 태국어 22강 (금지 표현하기 : 야, 함) (강조의 어조사) อย่า (야 - ): ~하지 마라 대화문 ห้าม (하 - ㅁ): 금하다, 금지하다 대화문 ไม่ห้าม(마이 하 - ㅁ): ~을 금하지 않는다 대화문 단어 ภาคใต้ 팍 따이 (남부) ภาค 팍 (지역) ใต้ 따이 (남쪽) อย่าลืม 야름 (잊지 마세요) แน่นอน 내넌 (당연하다) ทาง 탕 (~에서, ~에 있어서) 의 사용예 - ไม่ห้ามค่ะ ห้ามเฉพาะวันส้าคัญทางศาสนา 마이 함 카. 함 차퍼 완 쌈칸 탕 쌋 싸나 (금지 하지 않았어요, 종교적으로 중요한 날만 금지에요) 강조의 어조사 및 수식사 대화문 2020. 10. 26.
EBS 태국어 21강 (강제표현 :떵 / 쿠언, 권유와 청유의 어조사) EBS 태국어 21강 (강제표현 :떵 / 쿠언, 권유와 청유의 어조사) ต้อง (떠-ㅇ): ~해야만 한다 대화문 ้ไม้ตอง (마이 떠-ㅇ): ~할 필요 없다 대화문 ควร (쿠 - 안): ~하는 것이 마땅하다 대화문 ้ไมควร (마이 쿠 - 안): ~하지 말아야 한다 대화문 권유와 청유의 어조사 : 어조사란? 화자가 말하고자 하는 의도를 어감으로 나타내기 위해 문장 끝에 덧붙이는 말 대화문 단어 ชาวต้างชาติ 차오 땅 찻 (외국인) - ชาว 차오 (민족, 종족) - ต้าง 땅 (다르다) - ชาติ 찻 (국가) บัตรเข้าชม 밧 카오 촘 (입장권) - บัตร 밧 (카드) - เข้า 카오 (들어가가) - ชม 촘 (보다) ยืม 이음 (빌리다) จาย 짜이 (지불하다) วัด 왓.. 2020. 10. 26.
EBS 태국어 20강 (~하고싶다,~을원하다,짜이를 이용한 성격/상태의 표현) EBS 태국어 20강 (~하고싶다,~을원하다,짜이를 이용한 성격/상태의 표현) อยาก (야-ㄱ): ~하고 싶다 ภาค 팍 (지역, 지방) เหนือ (북) 대화문 ต้องการ (떠 - ㅇ 까 - ㄴ): ~을 원하다, 바라다 สถานที่ 사탄 티 (장소) ท่องเที่ยว 텅 티야우 (관광) 대화문 대화문 성격, 상태의 표현 2020. 10. 21.
EBS 태국어 19강 (추측표현:~일것이다,~임직하다,부동사) EBS 태국어 19강 (추측표현:~일것이다,~임직하다,부동사) อาจ(จะ) (아-ㅅ (짜)): ‘아마도 ~일 것이다’ (50~60%의 추측) 대화문 คง(จะ) (콩 - (짜)): ‘아마도 ~일 것이다’ (70%~의 추측) 대화문 น่า (나): ~임직하다’, ‘~일 것이다’ 대화문 ‘~되다, ~해지다’ (부동사 : 다음의 동사들을 부동사로 덧붙여서 상태나 상황이 심화되거나, 약화됨을 표현할 수 있다) 대화문 2020. 10. 21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