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태국어/기초 태국어3

태국어 글자의 특징 자음의 특징 자음 44개 중 2개는 현재 사용하지 않는다 자음의 이름은 음가 + 대표단어로 구성되어 있다 같은 소리가 나는 자음이 여러가지 이다 자음은 성조에 따라 중자음, 고자음, 저자음 세가지로 분류된다. 모음의 특징 자음의 앞 뒤 위 아래 어디든 위치할수 있다 자음 없이 홀로 사용하는 모음도 있다 무형모음 (생략되는) 이 있다 상황에 따라 형태가 바뀌는 모음이 있다 모음은 장모음, 단모음 2가지로 분류된다 태국어의 구성 어두자음(초자음) + 모음 + 어말자음(종자음) 종자음은 성조에 따라 생음(ㄴ,ㅁ,ㅇ,이,우) 와 사음(ㄱ,ㅂ,ㅅ)으로 분류된다 성조 5가지의 성조가 있다 (평성, 1성, 2성, 3성, 4성) 유형성조, 무형성조가 있다 (자음과 모음, 종자음의 종류에 따라 달라진다) 유형성조 무형성.. 2020. 8. 20.
태국어의 의문사 의문사 ไหม (마이) 와 หรอ (러) 의 차이 ไหม (마이) 는 단순 질문을 하는 의문사 หรอ (러) 는 상대방에게 확인을 이끌어 내는 의문사 예시: สบายดีไหม (잘 지냈어?) / สบายดีหรอ (잘 지냈다고?) 의문사 หรือ 르의 쓰임새 หรือ 르 (아니면 또는?) ยัง 양 (아직) หรือยัง 르양 (~이니? 아직이니?) 2020. 8. 12.
태국어의 특징 5가지 (어순, 형용사, 은는이가, 어형 등) 태국어는 한글과는 다른 특징들이 존재합니다. 어순 3 형식으로 쓸 때 주어 - 동사 - 목적어 순으로 사용된다. (예: 나는 먹었다 밥을) 형용사의 위치 꾸며주는 말은 뒤에 위치한다 (예: 예쁜 소녀 -> 소녀 예쁜) 은 는 이 가 (주어에 붙는 말) / 을 를 (목적어에 붙는 말)에 해당하는 단어가 없다 "나는 먹는다 밥을"이라는 표현을 태국어로 한다면 "나 먹는다 밥"처럼 됩니다. 단어의 연속된 나열입니다. 어형 한글은 문어체와 회화체가 구분되어 있습니다 예:가다(문어체) -> 가요, 갑니다(회화체) 태국어에는 어형의 변화가 없으므로 가다는 뜻의 ไป (빠이)는 가다, 갑니다, 가요 등으로 쓰일 수 있습니다. 태국어에서 명사 명사의 나열일때의 순서 더 큰 의미의 명사가 앞에 쓰여 집니다. ( 예시 :.. 2020. 8. 12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