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태국어/EBS 태국어

EBS 태국어 6강 의문조사: (마이/르) (뺀/크+차이마이), 선택 의문문: (르쁠라오/르마이) (차이르마이/차이르쁠라오)

by hyeon tae 2020. 10. 5.

 

EBS 태국어 6강 의문조사: (마이/르) (뺀/크+차이마이), 선택 의문문: (르쁠라오/르마이) (차이르마이/차이르쁠라오)

 

의문조사를 이용한 의문문 표현 : 평서문 + 의문조사 (ไหม 마이 / หรือ 르)


의문조사 ไหม (마이)

1. 상대방의 의도를 짐작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물어볼 때 의문조사 ไหม (마이)를 사용한다.

2. 주어 + 동사 (+ 목적어/보어) + ไหม(마이) 의 형태로 표현한다

3. 부정문은 의문조사 ไหม (마이)를 사용할 수 없고, 의문문만 만들 수 있다

대화문


เป็น (뻰)이나 คือ(크)를 사용한 경우의 의문문

1. 바로 의문조사를 붙일 수 없고, ใช่ไหม(차이 마이)의 형태로 변형하여 붙인다.

2. 주어 + เป็น(뻰-)/คือ(크) (+ 보어) + ใช่ไหม(차이 마이)의 형태로 표현한다.

대화문


의문조사 หรือ (르 )

1. 상대방의 의도를 다소 짐작하는 상황에서 물어볼 때는 의문조사 หรือ(르)를 사용한다.

2. 긍정문과 부정문을 의문문으로 만들 때 모두 사용할 수 있다.

3. 주어 + 동사 (+ 목적어/보어) + หรือ(르)의 형태로 표현한다.

대화문


선택 의문문 표현

선택 의문문은 ‘~인지, 아닌지’를 묻는 문장으로 หรือไม่(르 마이) 혹은 หรือเปล่า(르 쁠라오) 2 가지가 있다.


선택 의문문 หรือไม่ (르 마이)

1. 주어 + 동사 (+목적어/보어) + หรือไม่(르 마이)의 형태로 표현한다.

대화문


선택의문문 หรือเปล่า(르 쁠라오)

주어 + 동사 (+목적어/보어) + หรือเปล่า(르 쁠라오) 의 형태로 표현한다

대화문


선택 의문문 : 일반동사가 아닌 เป็น(뻰)이나 คือ(크)를 사용한 경우에는 바로 선택 의문문을 만들 수 없고, ใช่หรือไม่(차이 르 마이) 혹은 ใช่หรือเปล่า(차이 르 쁠라오) 의 형태로 변형하여 붙인다.

1. 주어 + เป็น(뻰)/คือ(크) (+ 보어) + ใช่หรือไม่(차이 르 마이)
2. 주어 + เป็น(뻰)/คือ(크) (+ 보어) + ใช่หรือเปล่า(차이 르 쁠라오)의 형태로 표현한다

대화문

댓글